본문 바로가기
728x90

수과157

제주야생화, 방가지똥 제주야생화, 방가지똥 길가나 들에서 자라는 잡초로 알려진 방가지똥입니다.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인 방가지똥은 5~9월에 노란색이나 흰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유럽의 원산지로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고 합니다. 2013. 3. 27.
제주야생화, 민들레 제주야생화, 민들레 햇볕이 잘 드는 들판에 자라는 민들레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민들레는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입니다. 한방에서 식물체 전체를 한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2013. 3. 13.
제주야생화, 세복수초 제주야생화, 세복수초 눈속에 핀 세복수초를 만나고 왔습니다. 세복수초는 햇볕이 잘드는 양지와 습기가 약간 있는 산기슭의 그늘에서 잘 자란다고 합니다. 꽃은 2~3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6~7월경에 달린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3종류가 보고되고 있는데, 제주도.. 2013. 2. 22.
제주야생화, 산국 제주야생화, 산국 들국화라고 부르는 산국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산국은 산지에서 자랍니다. 꽃은 9~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고 합니다. 2012. 11. 20.
제주야생화, 털머위 제주야생화, 털머위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털머위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털머위는 9~10월에 노란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털이 나고 갈색의 관모가 있습니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어린 잎자루는 식용한다고 합니다. 2012. 11. 4.
제주야생화, 갯개미취 제주야생화, 갯개미취 갯가나 내륙의 염성지에서 자라는 갯개미취입니다.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인 갯개미취는 9~10월에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편평하고 긴 타원형입니다. 원산지는 유럽, 아프리카로 제주도, 전라북도, 경기도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2. 10. 31.
제주야생화, 참취 제주야생화, 참취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참취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참취는 8~10월에 흰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2. 10. 25.
제주야생화, 수까치깨 제주야생화, 수까치깨 산과 들에서 잘 자라는 수까치깨입니다.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인 수까치깨는 8~9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2012. 10. 20.
제주야생화, 환삼덩굴 제주야생화, 환삼덩굴 들에 흔히 자라는 잡초로 팔에 굵히면 따끔거리고 아픕니다. 삼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인 환삼덩굴은 7~8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입니다. 열매가 달린 전초는 이뇨제로 사용합니다. 2012. 10. 16.
제주야생화, 이삭여뀌 제주야생화, 이삭여뀌 산골짜기 냇가와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이삭여뀌입니다.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이삭여뀌는 7~8월에 빨간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입니다. 풀 전체를 한약재로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2. 10. 14.
제주야생화, 부용 제주야생화, 부용 중국이 원산지인 아욱과의 낙엽관목인 부용입니다. 부용은 산과 들에 자라며 꽃은 8~10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맥이 있으며 10~11월에 익습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한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2012. 10. 12.
제주야생화, 여뀌 제주야생화, 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인 여뀌입니다. 습지 또는 냇가에서 자라는 여뀌는 6~9월에 붉은 빛이 도는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결모양입니다. 한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2012. 10. 10.
제주야생화, 곰취 제주야생화, 곰취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라는 곰취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곰취는 7~9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고 하네요. 2012. 9. 8.
제주야생화, 으아리 제주야생화, 으아리 사위질빵과 비슷한 으아리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으아리는 6~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익는다고 합니다. 2012. 9. 6.
제주야생화, 해당화 제주야생화, 해당화 이미자 선생님의 노랫가사가 생각나는 해당화입니다.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해당화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랍니다. 꽃은 6~7월에 홍색꽃이 피지만 흰색 꽃도 있습니다. 열매는 편구형 수과로 붉게 익으며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심는다고 합니다. 2012. 8.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