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자주색152

갯무꽃 바닷가에서 자라는 연분홍 제주야생화, 갯무꽃입니다.겨자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꽃은 4~5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핍니다. 열매는 견과이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으로 쓰입니다. 2025. 4. 30.
제비꽃 들에서 흔히 자라는 제비꽃입니다.제비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6월에 익습니다.꽃말은 겸양이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2. 30.
자주쓴풀 어담초, 당약이라고 부르는 자주쓴풀입니다.용담과의 두해살이풀로 꽃은 9~10월에 자주색으로 피며 한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12. 20.
갯쑥부쟁이 바닷가 건조한 곳에서 자랍니다.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꽃은 8~11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흰색입니다.어린순은 식용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8.
물봉선 산골짜기 물가나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나는 물봉선입니다.물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물봉선은, 8~9월에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종자가 튀어나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1.
자주개황기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랍니다. 자주개황기, 털황기라고도 부르며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에 달립니다.열매는 협과로 털이 나고 2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5.
산박하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산박하입니다.산지에서 자라는 산박하는, 6~8월에 파란빛을 띤 자줏빛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작은 견과로 9~10월에 익습니다.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5.
산박하 산지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산박하입니다.꽃은 6~8월에 파란빛을 띤 자줏빛으로 피고, 열매는 작은 견과로 9~10월에 익습니다.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0. 31.
쑥부쟁이 습기가 있는 산과 들에 자라는 쑥부쟁이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7~10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이며 10~11월에 익습니다. 어린순은 데쳐서 나물로 먹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0. 31.
들깨풀 들에서 흔히 자랍니다.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꽃은, 8~9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가지 끝에 이삭으로 달리며, 바소꼴입니다.열매는 분과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입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0. 30.
가시엉겅퀴 산과 들에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가시엉겅퀴입니다.꽃은 7~8월에 자줏빛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으며 9월에 익습니다.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0. 27.
눈개쑥부쟁이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눈개쑥부쟁입니다. 꽃은 7~10월에 짙은 파란빛을 띤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입니다.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한국 특산식물로 제주도에 분포합니다. 2024. 9. 19.
물봉선 산골짜기 물가나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라는 물봉선입니다.물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물봉선은 8~9월에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 2024. 9. 18.
순비기나무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밀원식물로 알려진 마편초과의 낙엽관목인 순비기나무입니다.꽃은 7~9월에 자줏빛 입술 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핵과로 딱딱하고 둥글며 9~10월에 검은 자주색으로 익습니다. 한방에서 열매를 만형자라고 하며 두통, 안질, 귓병에 사용합니다.한국, 일본 등지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합니다. 2024. 8. 25.
털이슬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털이슬입니다. 바늘꽃과의 여러해살풀인 털이슬은 8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갈고리 모양의 털이 납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