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홍색28

제주야생화, 며느리밑씻개 제주야생화, 며느리밑씻개 들에서 흔히 자라는 며느리밑씻개입니다. 마디풀과의 동굴성 한해살이풀인 며느리밑씻개는 7~8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며, 열매는 수과로 둥글고 다소 세모집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5. 7. 26.
제주야생화, 송장풀 제주야생화, 송장풀 이름과는 달리 아름다운 송장풀입니다.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송장풀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로 10월에 익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4. 9. 4.
제주야생화, 며느리밑씻개 제주야생화, 며느리밑씻개 들에서 흔히 자라는 며느리밑씻개입니다.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인 며느리밑씻개는 7~8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며, 열매는 수과로 둥글지며 세모집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4. 7. 27.
제주야생화, 자주괭이밥 제주야생화, 자주괭이밥 요즘 날씨가 따뜻하지요. 그러다 보니 길가에 봄꽃인 자주괭이밥이 곱게 피어 있습니다.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자주괭이밥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입니다. 꽃은 6~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익습니다. 2014. 1. 7.
제주들꽃, 송장풀 제주들꽃, 송장풀 이름이 특이한 송장풀입니다.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송장풀은 8월에 연한 홍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골돌과로 10월에 익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3. 9. 20.
제주들꽃, 둥근잎유홍초 제주들꽃, 둥근잎유홍초 애기나팔꽃과 많이 헷갈리는 둥근잎유홍초입니다.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인 둥근잎유홍초는 8~9월에 노란빛을 띤 홍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9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2013. 9. 13.
제주들꽃, 며느리밑씻개 제주들꽃, 며느리밑씻개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를 많이 가지고 있는 며느리밑씻개입니다.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인 며느리밑씻개는 7~8월에 연한 홍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꽃받침으로 싸여 있습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머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13. 9. 11.
제주야생화, 부용 제주야생화, 부용 얼핏보면 무궁화처럼 보이는 부용입니다. 중국이 원산지인 부용은 아욱과의 낙엽관목으로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 꽃은 8~10월 연한 홍색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맥이 있습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합니다. 2013. 8. 19.
소담스럽게 핀 제주 수국 소담스럽게 핀 제주 수국 7월은 수국이 계절인가 봅니다. 요즘 길가에 소답스럽게 핀 수국이 절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인 수국은 6~7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꽃이 피었다가 하늘색으로 되고 다시 연한 홍색으로 됩니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고 합니다. 2013. 6. 27.
제주의 꽃, 수국 제주의 꽃, 수국 제주시 화북동 주택가 집뜰에 피어 있는 수국입니다. 연분홍색 꽃이 아직 덜 핀 상태이지만, 그래도 볼만 해서 담아왔습니다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인 수국은 6~7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피었다가 하늘색으로 되고 다시 연한 홍색으로 변합니다. 옛날에는 꽃을 말려 해열제로.. 2013. 6. 12.
제주야생화, 자주괭이밥 제주야생화, 자주괭이밥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인 자주괭이밥입니다.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자주괭이밥은 4~5월에 연한 홍색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6월에 익는다고 합니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지요. 2013. 3. 23.
제주야생화, 부용 제주야생화, 부용 중국이 원산지인 아욱과의 낙엽관목인 부용입니다. 부용은 산과 들에 자라며 꽃은 8~10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맥이 있으며 10~11월에 익습니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한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2012. 10. 12.
제주야생화, 해당화 제주야생화, 해당화 이미자 선생님의 노랫가사가 생각나는 해당화입니다.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해당화는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랍니다. 꽃은 6~7월에 홍색꽃이 피지만 흰색 꽃도 있습니다. 열매는 편구형 수과로 붉게 익으며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심는다고 합니다. 2012. 8.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