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흰색328 제주야생화, 하늘타리 제주야생화, 하늘타리 요즘 들에 나가면 많이 볼 수 있는 하늘타리입니다. 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인 하늘타리는 하늘수박, 하늘래기라고도 부르지요. 꽃은 7~8월에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오렌지색으로 익습니다. 한방에서 약용하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2012. 7. 30. 제주야생화, 미국자리공 제주야생화, 미국자리공 자리공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붉은 빛이 도는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적자색으로 익는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2012. 7. 28. 제주야생화, 치자나무 제주야생화, 치자나무 꽃에서 풍기는 향기가 좋은 치자나무다.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인 치자나무는 6~7월에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9월경 황홍색으로 익는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향기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2012. 7. 26. 제주야생화, 산수국 제주야생화, 산수국 제주의 산수국은 역시 아름답습니다. 산골짜기에 자라는 산수국은 범위귀과의 낙엽관목으로 7~8월에 흰색과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입니다. 2012. 6. 21. 제주야생화, 인동초 제주야생화, 인동초 어릴적 추억이 떠오르는 인동초다. 인동과의 덩굴성 반상록활엽관목인 인동초는 약용식물로 꽃은 5~7월에 핀다. 꽃의 색이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라고도 한다. 전국 산야 숲 가장자리 어디에서든 잘 자라며 둥근 열매는 9~10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2012. 6. 17. 제주야생화,갯방풍 제주야생화, 갯방풍 바닷가에서 만난 제주야생화, 갯방풍입니다. 산형과의 풀인 갯방풍은 6~7월에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이라고 합니다. 한약재로 사용한다고 하네요. 2012. 6. 11. 제주야생화, 갯까치수영 제주야생화, 갯까치수영 바닷가에 자라는 갯까치수영입니다. 앵초과의 두해살이풀인 객까치수영은 7~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종자가 있습니다. 2012. 6. 1. 제주야생화, 토끼풀 제주야생화, 토끼풀 식물체를 목초로 사용하는 토끼풀입니다.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토끼풀은 6~7월에 흰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협과로 9얼에 익는다. 2012. 5. 26. 제주야생화, 찔레꽃 제주야생화, 찔레꽃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 자라는 찔레꽃입니다.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찔레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 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수과로 달립니다. 2012. 5. 22. 제주야생화, 벌깨냉이 제주야생화, 벌깨냉이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벌깨냉이는 산지의 습기가 있는 그늘에서 자란다. 꽃은 4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5월에 삭과로 익는다.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제주도, 거제도, 부산 김해 등에 분포한다. 2012. 5. 18. 제주야생화, 세바람꽃 제주야생화, 세바람꽃 한라산에서 만날 수 있는 세바람꽃이다.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세바람꽃은 꽃이 3개씩 달렸기 때문에 세바람꽃이라 부른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다. 2012. 5. 17. 제주야생화, 광대수염 제주야생화, 광대수염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광대수염입니다.^^ 광대수염은 산지의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꽃은 5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 또는 흰색 꽃이 핍니다. 열매는 분과이고 7~8월에 익읍니다. 2012. 5. 7. 제주의 나무, 복사나무 제주의 나무, 복사나무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인 복사나무이다. 복숭아나무라고도 부른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 또는 옅은 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핵과이다. 열매는 식용하고 씨앗은 한약재로 사용한다.^^ 2012. 4. 27. 이전 1 ··· 19 20 21 2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