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2444

갈매기난초 산의 숲 속에서 자랍니다.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초여름에 줄기 끝에 흰색으로 핍니다.온대 및 난대 지방에 분포되어 자라는데, 특히 제주도에 넓게 분포되어 자랍니다. 2024. 6. 30.
골무꽃 숲 가장자리에서 자랍니다.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열매는 분과로 7월에 익습니다.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민간에선 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6. 28.
옥잠난초 숲 속에서 자랍니다.잎이 옥잠화 비슷하게 생겨 옥잠난초라고 합니다.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7월에 연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총상으로 달린 꽃이 핍니다.열매는 삭과로 길이 10~15mm입니다.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25.
약모밀(어성초) 응달진 숲 속에서 자랍니다.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어성초라고도 부릅니다.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이며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2024. 6. 24.
암대극 바닷가 돌의 많은 곳에서 자랍니다.갯바위 대극이라 부르고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꽃은 5월에 노란빛이 도는 녹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이고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한약재로 사용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24.
노랑땅나리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랍니다.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월 말부터 7월까지 노란빛이 띠는 꽃이 핍니다.열매는 긴 달걀 모양의 삭과이고 9월에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23.
인동덩굴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랍니다.금은화, 인동초라 부르며,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흰색으로 피었다가 나중에 노란색으로 변합니다.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10~11월에 검게 익습니다.밀원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6. 22.
덩굴민백미꽃 바다 근처의 풀밭에서 자랍니다.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골돌과로 바소꼴입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21.
다정큼나무 해안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상록 활엽 관목입니다.꽃은 4~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이과로 둥글고 가을에 검게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7.
갯장구채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랍니다.석죽과의 두해살이풀인 갯장구채는 5~6월에 가지와 원줄기 끝에 분홍색 꽃이 핍니다.열매는 삭과이고 종자가 나옵니다. 2024. 6. 15.
갯까치수영 바닷가에서 자랍니다.해변진추초라고도 부르며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종자가 나옵니다.앵초과의 두해살이풀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3.
갯메꽃 바닷가 모래땅에 자랍니다.메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핍니다.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검은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제주도를 비롯한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2.
찔레꽃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자랍니다.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9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한약재로 사용합니다.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장미과의 낙엽관목입니다. 2024. 6. 12.
주름잎 밭이나 습한 곳에서 자랍니다.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꽃은 주걱형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옆면에 주름이 집니다.꽃은 5~8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급니다.우리나라 전역 및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1.
아까시나무 산과 들에 흔히 자랍니다.아카시아 나무라고도 부르며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핍니다.열매는 협과로 납작한 모양이며 9월에 익습니다.콩과의 낙엽교목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이나 조림용으로 많이 심습니다.밀원식물로 꿀을 따기도 합니다. 2024. 6.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