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2444 여주 열대 아시아가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꽃은 1가화이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황색입니다.열매는 박과이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옵니다.열매가 여지와 비슷하므로 여주라고 부릅니다.어린 열매와 홍색 종피는 식용으로 하고, 종자는 약용으로 합니다. 2024. 9. 1. 금불초 습지에서 자랍니다.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려 전체가 산방상으로 달립니다.열매는 수과로 10개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가 약 5mm입니다.어린순은 나물 또는 국거리로 식용합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8. 순비기나무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밀원식물로 알려진 마편초과의 낙엽관목인 순비기나무입니다.꽃은 7~9월에 자줏빛 입술 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핵과로 딱딱하고 둥글며 9~10월에 검은 자주색으로 익습니다. 한방에서 열매를 만형자라고 하며 두통, 안질, 귓병에 사용합니다.한국, 일본 등지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합니다. 2024. 8. 25. 통발 연못이나 물웅덩이에서 자라는 통발입니다.통발과의 수생식물인 통발은 8~9월에 노란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성숙하지 않고 물속에 가라앉아 겨울을 지냅니다.우리나라 남부지방을 비롯해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5. 털이슬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털이슬입니다. 바늘꽃과의 여러해살풀인 털이슬은 8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갈고리 모양의 털이 납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5. 천남성 열매 산지의 그늘에서 자라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5~7월에 단성화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장과로 붉은색으로 익습니다.유독성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4. 유도화(협죽도) 햇볕이 잘 드는 습기가 많은 사질토에 자랍니다.꽃은 7~8월에 홍색, 백색, 자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골돌이며, 갈색으로 익습니다.협죽도는 여름에 봉숭아꽃과 비슷한 꽃이 피고, 잎은 버드나무처럼 가늘어 유도화라고도 부릅니다.인도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 지방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2024. 8. 24. 털부처꽃 거친 털이 있어 털부처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취산꽃차례로 붉은 자주색 꽃이 피고, 높이는 1.5m 정도이다.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이며 습지에서 자란다.한국, 중국, 유럽 등지에서 분포한다. 2024. 8. 22. 붉은사철란 숲 속에서 자랍니다.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8~9월에 붉은빛이 도는 연한 갈색으로 피고, 통처럼 생기며 1~3개씩 달립니다.꽃잎은 줄 모양이며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합니다.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21. 방울꽃 낮은 지대의 습기가 있는 그늘에서 자랍니다.쥐꼬리망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60㎝입니다.꽃은 9월에 연한 자줏빛으로 피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립니다.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4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14. 왕원추리 산지나 초지에서 자랍니다.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경에 주황색으로 피고, 열매는 맺지 못합니다.어린잎을 식용하고 뿌리는 이뇨, 지혈 및 소염제로 사용합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11. 이질풀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8월에 연한 붉은색, 붉은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입니다.민간엑서 한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8. 11. 자금우 산지의 숲 밑에서 자랍니다.자금우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꽃은 6월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핍니다.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월에 붉게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9. 뱀무 산과 들에 자랍니다.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1개씩 달립니다.열매는 수과로 둥글게 모여 있는 형태입니다.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한방에서 이뇨제로 쓰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8. 대흥란 여러 곳에서 만난 대흥란입니다.난초과의 부생식물로 꽃은 7~8월에 흰색 바탕에 홍자색이 도는 꽃이 2~5개 핍니다.전라남도 해남군 두륜산 대흥사 부근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었습니다. 2024. 8.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6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