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2444 공단풀 구로 공단에서 처음 발견된 풀이라는 뜻의 이름입니다.원산지가 남.북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며, 아욱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분과이고 그것이 여러 개 모여 삭과를 이룹니다. 2024. 11. 30. 노박덩굴 열매 산과 들의 숲 속에서 자랍니다.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나무로 꽃은 5~6월에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핍니다. 열매는 삭과로 공 모양이며, 10월에 노란색으로 익습니다.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고, 종자는 기름을 짜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30. 까마중 열매 밭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가지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꽃은 5~9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7월부터 검게 익는데, 단맛이 나지만 독성이 있습니다.봄에 줄기에 난 어린잎을 나물로 삶아 먹습니다.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널리 분포합니다. 2024. 11. 30. 은목서 진한 향기가 코끝을 자극하는 은목서가 하얀 꽃을 피웠습니다. 중국이 원산지인 은목서는 물푸레나무과의 상록 대관목으로 10월에 황백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입니다. 향기가 매우 좋아 조경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2024. 11. 28. 갯쑥부쟁이 바닷가 건조한 곳에서 자랍니다.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꽃은 8~11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흰색입니다.어린순은 식용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8. 개머루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포도과의 낙엽성 덩굴식물로 돌머루라고도 합니다.꽃은 6월에 녹색 꽃이 취산꽃차례로 피는데, 양성화로 잔꽃이 많이 달리며 잎과 마주납니다.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 8~10mm이며, 8월 말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푸른색으로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8. 개미취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라는 개미취입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10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하늘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습니다.높이는 약 15㎝ 정도 자라고 설상화는 하늘색이고 관모는 흰색입니다. 2024. 11. 24. 천남성 열매 산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천남성 열매입니다.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7월에 단성화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장과로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유독성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4. 줄사철나무 덩굴성으로 자라는 줄사철나무는, 노박덩굴과의 상록활엽 덩굴성 나무입니다.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5개 내외의 꽃이 취산꽃차례로 달려서 피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가 나옵니다.한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제주도 등 따뜻한 지역 표고 100~900m에 자생하며 내한성이 강한 나무입니다. 2024. 11. 24. 금목서 중국이 원산지인 금목서입니다.물푸레나무과의 상록 소교목으로 꽃은 9~10월에 잎겨드랑이에 주황색 잔꽃이 많이 모여 핍니다.꽃이 질 때쯤에 녹색의 콩과 같은 열매를 맺습니다. 2024. 11. 21. 물봉선 산골짜기 물가나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나는 물봉선입니다.물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물봉선은, 8~9월에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종자가 튀어나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1. 왜승마 습한 곳에서 자라는 왜승마입니다.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흰 꽃이 수상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골돌과입니다.제주도, 경상남도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1. 한라돌쩌귀 청자색 자태를 뽐내는 한라돌쩌귀입니다.꽃 모양이 마치 투구와 비슷한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한라돌쩌귀는 9월에 청자색 꽃이 피고 열매는 골돌과입니다.한라산 습윤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인 한라돌쩌귀는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에 이름을 올린 꽃입니다.한라산에만 자생하는 제주특산종인 한라돌쩌귀는 꽃 모양이 특이하고 꽃색깔이 아주 진해서 한번 보면 또 보고 싶은 꽃입니다. 2024. 11. 20. 양하꽃 아시아 열대 지방이 원산지인 양하꽃입니다.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 산지나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제주도에서는 즐겨 먹는 채소입니다. 꽃은 8~10월에 꽃이 황색으로 피며, 꽃줄기에 긴 타원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달립니다. 한방에서는 양하의 뿌리줄기와 종자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11. 20. 고사리삼 풀밭이나 숲 속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고사리삼입니다. 꽃고사리라고도 부르는 고사리삼은 고사리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의 밑 부분에서 영양엽과 포자엽이 각각 1개씩 갈라집니다. 포자낭은 좁쌀 모양이고 황색이여 가로로 갈라지고, 포자는 10~11월에 익습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11. 20. 이전 1 2 3 4 5 6 7 8 ··· 16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