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흰색328 게박쥐나물 깊은 산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 게박쥐나물입니다.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게박쥐나물은 6~9월에 흰색으로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흰색의 갓털이 있습니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제주도 한라산에 자랍니다. 2024. 9. 26. 노린재나무 열매 산과 들에 자랍니다.노린재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타원형으로 9월에 짙은 파란색으로 익습니다.열매가 흰색으로 익는 노린재나무고 있는데, 이것을 흰노린재나무라 하고 강원도에서 자랍니다. 2024. 9. 14. 가막살나무 열매 산허리 아래의 숲속에서 자랍니다.인동과의 낙엽관목으로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핵과로 10월에 붉게 익습니다.관상수로 정원에 심으며 울타리, 방화수로 이용합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9. 14. 으아리 사위질빵과 매우 비슷한 으아리입니다.들판에서 흔히 자라며 꽃은 7~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달걀 모양입니다.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9. 8. 이질풀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8월에 연한 붉은색, 붉은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입니다.민간엑서 한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8. 11. 자금우 산지의 숲 밑에서 자랍니다.자금우과의 상록 소관목으로 꽃은 6월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으로 핍니다.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월에 붉게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9. 하늘타리 산기슭에서 흔히 자랍니다.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고 오렌지색으로 익고 종자가 있습니다.하늘 수박이라고도 불리며 열매는 한약재로 사용합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8. 4. 돌가시나무 바닷가 가장자리에 자랍니다.찔레꽃과 매우 비슷하며, 장미과의 반상록 활엽 포복성관목입니다.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둥글며 가을에 붉게 익습니다.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7. 8. 갯방풍 제주 바닷가 갯바위 틈에서 자랍니다.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입니다.풍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나물로 많이 먹습니다.어린잎은 입맛을 자극하여 나물로 먹으며 식감이 독특합니다. 2024. 7. 6. 노루발풀 숲 속에서 자랍니다.노루발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6~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 꽃이 핍니다.열매는 삭과로 납작한 공 모양이며 9월에 갈색으로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7. 3. 갈매기난초 산의 숲 속에서 자랍니다.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초여름에 줄기 끝에 흰색으로 핍니다.온대 및 난대 지방에 분포되어 자라는데, 특히 제주도에 넓게 분포되어 자랍니다. 2024. 6. 30. 약모밀(어성초) 응달진 숲 속에서 자랍니다.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어성초라고도 부릅니다.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이며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2024. 6. 24. 인동덩굴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랍니다.금은화, 인동초라 부르며,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흰색으로 피었다가 나중에 노란색으로 변합니다.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10~11월에 검게 익습니다.밀원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합니다. 2024. 6. 22. 다정큼나무 해안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상록 활엽 관목입니다.꽃은 4~6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이과로 둥글고 가을에 검게 익습니다.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7. 갯까치수영 바닷가에서 자랍니다.해변진추초라고도 부르며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종자가 나옵니다.앵초과의 두해살이풀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지에 분포합니다. 2024. 6. 13. 이전 1 2 3 4 5 6 ··· 22 다음 728x90